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When to Use a Class Component Over a Function Component in React?

 

React에서 클래스 컴포넌트(Class Components)와 함수형 컴포넌트(Functional Components)는 컴포넌트를 정의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각각 고유한 장점이 있습니다. 함수형 컴포넌트는 현대 React 개발에서 선호되는 방식이 되었지만, 특정 시나리오에서는 클래스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중 언제 선택해야 할지 살펴보겠습니다.


1. 라이프사이클 메서드가 필요할 때

클래스 컴포넌트는 특정 시점(예: 마운트, 업데이트, 언마운트 시점)에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빌트인 라이프사이클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React 16.8 이전 버전을 사용하거나, 훅(Hooks)에서 완전히 구현되지 않은 특정 라이프사이클 메서드가 필요할 경우 클래스 컴포넌트를 선호할 수 있습니다.

예시: componentDidMount, componentDidUpdate, componentWillUnmount와 같은 메서드는 클래스 컴포넌트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React 16.8에서 도입된 Hooks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라이프사이클 메서드 기능을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useEffect 훅을 통해 구현할 수 있습니다.


2. 훅 없이 상태(State)를 사용해야 할 때

React Hooks 이전에는 클래스 컴포넌트가 로컬 컴포넌트 상태를 사용하는 유일한 방법이었습니다. 함수형 컴포넌트는 이제 useState 훅을 통해 상태를 관리할 수 있지만, 기존 코드베이스에서 클래스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클래스 컴포넌트를 계속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3. 레거시 코드 작업 시

클래스 컴포넌트로 작성된 기존 프로젝트에서 작업할 경우, 모든 코드를 즉시 리팩터링할 필요가 없다면 클래스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일관성을 유지하고 불필요한 복잡성을 줄이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4. 성능 최적화가 필요할 때

클래스 컴포넌트는 특정 상황에서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 shouldComponentUpdate와 PureComponent를 사용하면 불필요한 업데이트를 방지하여 다시 렌더링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함수형 컴포넌트도 React.memo를 사용하여 유사한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지만, 클래스 컴포넌트는 shouldComponentUpdate와 같은 성능 최적화 메서드에 직접 접근할 수 있습니다.


5. 에러 바운더리가 필요할 때

React에서 **에러 바운더리(Error Boundaries)**를 구현하려면 클래스 컴포넌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에러 바운더리는 자식 컴포넌트 트리에서 발생하는 JavaScript 오류를 포착하고, 이를 로그로 기록하며, 대체 UI를 표시하는 컴포넌트입니다. 이 기능은 함수형 컴포넌트로는 구현할 수 없지만, React Hooks는 다른 많은 사용 사례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함수형 컴포넌트는 간결하며 React Hooks 덕분에 현대 React 개발에서 기본 선택지가 되었지만, 클래스 컴포넌트가 여전히 필요한 특정 사례가 존재합니다. 라이프사이클 메서드, 에러 바운더리 구현, 또는 레거시 코드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클래스 컴포넌트는 여전히 유용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새로운 개발에서는 함수형 컴포넌트와 Hooks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는 접근 방식입니다.